본문 바로가기

지하연속벽3

토류벽공법 선정 시 고려사항 8.1 토류벽공법 선정 시 고려사항 8.1.1 토류벽 주요 공법 1) H-pile + 토류벽 2) Sheet pile 3) SCW 4) CIP 5) 지하연속벽 8.1.2 선정 시 고려사항 1) 지층 조건 (1) 굴착지반이 연약한 점성토 또는 느슨한 사질토의 경우 굴착에 따른 토류벽 변위가 크게 되므로 주변 지반의 침하량이 크고 영향범위도 불량한 지반일수록 크게 됨. (2) 벽체 강성이 클수록 변위가 적게 되며 벽체 강성은 다음 순서로 커짐. H-pile+토류판 → sheet pile → SCW → CIP → 지중연속벽 (3) 자갈층인 경우 sheet pile의 타입이 곤란할 수 있고 SCW는 자갈이 큰 경우 예로 10cm 이상에서 시공성이 결여됨. (4) 암반층에서 CIP는 공사 기간이 길어지고 SCW,.. 2023. 1. 22.
지하연속벽의 문제점 및 유의사항 4.2 사례 (문제점 및 유의 사항) 4.2.1 문제점 (지하연속벽, Diaphragm Wall 경우) 1) 일반적인 현장의 경우 고가이다. 일반적인 토류벽공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이다. 따라서 전술한 이점이 필요하지 않는 공사에서의 적용성은 낮다. 또 다른 공법과 비교검토를 할 경우에는 다른 공법의 결점을 보완하여 지하연속벽과 동등한 기능을 얻기 위해 추가되는 보조공법(말하자면 차수를 목적으로 하는 주입공법 등)에 드는 비용을 부가해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2) 굴착 도랑(Trench)의 붕괴 굴착 도랑의 안정은 지반안정액에 의해서 확보되지만 지하수의 상황에 따라 안정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또 장대한 패널(Panel) 길이를 시공하거나 굴착 후 장기간에 걸쳐 굴착 도랑을 방치해 두는 것도 붕괴.. 2023. 1. 15.
지하연속벽의 분류 4.1 지하연속벽의 분류 4.1.1 공법소개 1) 주열식 벽체 (Contiguous Pile Walls) 흙막이용 구조 벽체로 사용되는 주열식공법에는 주로 철근 및 철골로 보강된 Concete Pile Wall이 대부분이고 이들이 시공 방법에 따라 CIP, PIP, MIP 등으로 불린다. 콘크리트 주열식벽체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고 이들 조인트 부위의 수 가능성을 개선하고자 소개된 Soil-Cement Wall 공법 중 SCW, SEC, DSM 공법은 일출 혹은 다축 오거나 교반장치에 인장 모멘트 작용시는 별도 철재 보완이 요구되나. 그러나 Jet-Grout, CJG나 CSP 공법은 초고압 분사 유출액(고압수, 공기, 경화재 등) 지반 내에 회전 분사시켜 원주상의 고결체를 형성한다. 2) MIP (Mi.. 2023.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