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7 흙막이 계측 관련 중요 및 주의사항
8.17.1 굴착에 따른 토류벽 거동
(1) 앵커 지점에서는 토압이 크고 Anchor 사이는 토압이 작게 분포되는데 이는 arching 현상 때문임.
(2) 굴착 진행으로 load cell(하중계)의 반력은 향상하고 하부시공이 되면 감소하게 되며 굴착이 완료되고 배면 토압이 평형을 유지하게 되면 일정한 수치로 수렴함.
(3) 굴착 시 변위 발생으로 변형율계에 의한 버팀보의 축하중은 증가하고 최하단 버팀보를 해체하면 바로 위의 버팀보 축하중이 증가함.
(4) Anchor의 인장, 버팀대의 선행재하로 토류벽이 배면으로 밀릴 수 있으며 지층이 연약한 경우는 인장 시 토류벽의 강성을 고려해야 함.
8.17.2 경사계
(1) 토류벽에서 1m 정도 떨어진 위치에 매설하고 하부는 견고한 지반에 근입 시킴. (예: 토사 지반 3~4m, 암반 지반 1~2m)
(2) 수평 변위가 큰 경우 트랜싯 등으로 토류벽 연직 경사도 측정 필요함. (grouting 불량, 토류벽배면 뒤채움 불량으로 제대로 변위 반영이 곤란함.)
(3) 변위량은 물론 변위 속도(mm/일)에 대해 관리함.
(4) 주변 지반과 일체화되도록 grouting 돼야 하고 하부에서 상부로 충진함.
8.17.3 지하수위계
토류벽배면에서 1m 정도 떨어진 위치에 매설하고 한 단면에 3개 정도 설치함.
8.17.4 하중계(load cell)
(1) 앵커의 가압판과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설치하고 경사계 매설지점과 같은 단면이 되게 함.
(2) 굴착은 물론 해체 시에도 응력 상태를 관찰함.
8.17.5 변형율계
(1) Strain gage는 축력 부재는 Web에, 휨 부재는 Frange에 설치함.
(2) 강재는 온도변화에 응력변화가 민감하므로 온도보정이 필요함.
(3) 굴착은 물론 해체 시에도 측정해야 함.
8.17.6 침하측정계
(1) 지표침하계와 지중침하계로 구분되며 지반 조건과 굴착 깊이를 고려하여 설치 변위를 검토함. (예: 지반 양호 L=(1~2)H, 지반 불량 L=(3~4)H, H:굴착 깊이)
(2) 지중침하계는 경사계와 같이 견고한 층에 근입 되어야 함.
8.17.7 기타
(1) 건물 경사계: 1개 지점 측정은 전체적인 침하 판단이 곤란할 수 있으므로 4개 이상 설치함.
(2) 계측 위치 선정
① 원위치 시험 등에 의해서 지반 조건이 충분히 파악되고 있는 곳
② 흙막이 구조물을 대표할 수 있는 곳
③ 중요구조물이 인접하여 있는 곳
④ 우선으로 굴착공사가 진행될 곳
⑤ 흙막이 구조물이나 지반이 특수한 조건이어서 공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곳
⑥ 교통량이 많은 곳
⑦ 하천 주위 등 지하수의 분포가 다량이고 수위의 상승, 하강이 빈번한 곳
⑧ 가능한 한 공사에 의해 계측기의 훼손이 적은 곳
위와 같은 관점에서 계측지점을 선정한 후 가능한 한 계측기기가 동일 단면에 설치되게끔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수평 변위, 주변 지반의 침하 및 지하수위의 변화 등이 서로 연관성을 유지하면서 나타나므로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계측의 신뢰성을 분석할 수 있기 때문임.
'토목학 > 흙막이 가시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흙막이공사 사고사례(2) (0) | 2023.02.03 |
---|---|
흙막이공사 사고 일반, 고려사항, 사고원인, 사고사례(1) (0) | 2023.02.01 |
흙막이 설계 관련 중요 및 주의사항(2) (0) | 2023.01.30 |
흙막이 설계 관련 중요 및 주의사항(1) (0) | 2023.01.28 |
SHEET PILE 인발 대책 (0) | 2023.0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