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6.4 CIP
(1) 천공 시 수직도유지가 매우 중요함. 이는 CIP가 연결부에서 중첩되지 않으므로 틈이 발생할 수 있고 수정이 불가능함.
(2) 상부의 토사층은 공벽붕괴 방지를 위해 casing 처리함.
8.16.5 SCW
(1) 시멘트의 블리딩 억제, 시멘트 유출 방지, 초기경화방지 및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동성 증진을 위해 bentonite를 사용함.
(2) 굴착 시 시멘트에 벤토나이트 안정액을 사용하여 풍화암 2m 정도까지 설치함.
(3) overlap 되도록 하고 수직을 유지해야 함.
(4) 시공 편차로 인해 벌어짐이 발생하면 JSP 등으로 보완함.
(5) 선단부에 slime이 잔류하지 않도록 교반 횟수와 시멘트 주입량을 증가시킴.
8.16.6 지하연속벽
(1) 안정액은 벽면 붕괴 방지와 slime 침전 방지기능에서는 비중이 큰 것이 유리하며 철근망 삽입, 콘크리트 타설시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1.02~1.07 정도임.
(2) 안정액 수위는 지하수위보다 1.2~1.5m 유지가 되어야 함.
(3) 콘크리트 타설 전에 slime을 제거하고 벽체 상단에 slime으로 강도가 저하된 부분은 제거하고 콘크리트 타설함.
(4) Strut으로 지지할 경우 벽체와 띠장간의 메우고 띠장을 보강함.
8.16.7 굴착
(1) 단계별로 정해진 심도 이상 굴착하지 않음. 과굴착으로 과도한 변형과 응력이 발생함에 유의해야 하고 과굴착으로 인해 수평 변위가 3배 이상 발생한 사례가 있음.
(2) 소단 설치 시 소단 상단폭은 과굴착 심도의 3배 이상이어야 함.
(3) 굴착 중 heaving 및 boiling의 발생 조짐을 관찰해야 함.
8.16.8 토류판
(1) 굴착 즉시 설치하여 지반변형이나 토사유출을 막고 배면 공동은 양질 토사 또는 soil-cement로 뒤채움함.
(2) 토류판 사이의 틈에서 지하수와 함께 토사가 유출되는 경우 filter 재를 삽입함.
8.16.9 Strut 및 Wale
(1) 띠장과 말뚝이 밀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밀착 쐐기 또는 모르타르 등으로 간격 채움을 실시함.
(2) 버팀보는 띠장과 직각 되도록 하며 중간말뚝과 교차부는 확실하게 결속시키고 수직 및 수평 브레이싱을 설치함.
(3) 사방향버팀보 축력의 수평분력으로 띠장이 이동되지 않게 하며 적기에 설치하여 가설재 및 주변 지반의 변형을 방지해야 함.
(4) strut은 중간 pile 부에서 단절되어서는 안되고 용접, 볼트 이음 상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함.
(5) 스트러트에 preloading을 가하지 않으면 변위가 1~1cm 정도 발생할 수 있고 실측에 의하면 최대축력이 점성토 지반은 4~8일, 모래 지반은 2~3일 후이므로 조기에 설치되도록 함.
(6) preloading은 일반 screw jack에 의하는 것보다 유압잭에 의해야 선행하중을 정확하게 줄 수가 있으며 설계하중의 50% 정도로 함.
(7) 띠장은 연속체로 해야 함.
8.12.10 Earth Anchor
(1) 천공 시 주상도와 지반 상태를 향시 비교하여 지반을 확인하며 자립할 수 없는 경우는 casing을 사용함.
(2) 천공 시 다량 지하수 유출시는 고압력 주입을 실시한 후 재천공하여 지하수 유출을 방지함.
(3) 천공 시 벤토나이트 현탁액을 사용할 수 없음.
(4) 강선이 공의 중앙에 놓이도록 간격재를 사용함.
(5) 주입은 1차 주입과 2차 주입으로 구분하며 2차 주입은 무수축 주입재료로 공극을 충진하며 공저에서 시작하여 공기, 지하수가 배출되도록 함.
(6) 주입압력은 지반파괴가 되지 않도록 함.
(7) 긴장은 인장시험으로 긴장력을 파악하고 보통시멘트는 주입 후 7일, 조강시멘트는 주입 후 3일 경과시에 실시함.
(8) 연약점토 또는 느슨한 사질토 지반에서 침하가 장기간에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자유장 부분도 grouting 함이 바람직하며 PS 강선은 분리 sheet로 싸서 grout 재와 분리함.
8.16.11 약액주입공법
(1) 지반주입재는 대상 지반과 주입목적에 맞으며 시험 주입에 의해 성능 확인 후 선정함.
(2) 주입속도: 일반적으로 용액형은 8~20ℓ/분, 현탁액형은 20~30ℓ/분의 속도가 사용되며 항렬에 의한 지반파괴 방지를 위해 Gel time이 긴 주입재를 낮은 주입속도로 주입함.
(3) 주입압은 간극수압의 3~5배 이하로 억제하고 간극수압보다 낮은 압력 아래에서는 주입이 불가능하므로 간극수압<주입압력<간극수압으로 함. 단, 지표 융기위험, 지하 매설물 인접 시에는 Gel time을 길게, 낮은주입압으로 주입속도를 느리게 함.
8.16.12 고압 분사 주입공법
(1) 공기와 물의 힘으로 지반을 굴착하여 굴착토를 지표에 배출하고 지중에 인위적인 공간을 만들어 고화재를 충진하는 치환공법으로 고강도이며 지수성이 높은 고결체임.
(2) 분사 압력이 고압이므로 배관의 노후나 이음에 문제가 생기면 파편, 경화재분산, 인명피해가 발생하므로 안전 점검이 필요함.
8.16.13 기타
(1) 토류벽배면의 유입수를 방지하기 위해 배면 지표는 시멘트 또는 아스팔트로 포장하고 배수로 설치함.
(2) 수평변위억제
① 소단설치, 과굴착 금지
② Earth Anchor 풀림 확인하고 필요시 재긴장
③ Strut 철거 시 pile마다 버팀목 설치함.
'토목학 > 흙막이 가시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흙막이공사 사고 일반, 고려사항, 사고원인, 사고사례(1) (0) | 2023.02.01 |
---|---|
흙막이 계측 관련 중요 및 주의사항 (0) | 2023.01.31 |
흙막이 설계 관련 중요 및 주의사항(1) (0) | 2023.01.28 |
SHEET PILE 인발 대책 (0) | 2023.01.27 |
정보화 시공, 근접시공 (0) | 2023.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