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목학/흙막이 가시설34

지반굴착 시 지하수위 지하 및 진동이 주변에 미치는 영향 및 대책 8.3 지반굴착 시 지하수위 지하 및 진동이 주변에 미치는 영향 및 대책 8.3.1 지하수저하 영향 및 대책 1) 원인 ① 흙막이벽 연결부, 차수 불량위치에서 누수 ② 굴착저면에 고인 물을 배제 2) 영향 ① 수위 저하로 단위중량이 수중에서 습윤단위중량으로 바뀌게 되어 1m 수위 저하 시 약 0.8~1.0t/m3의 유효응력이 증가하게 됨. ② 유효응력 증가로 하중 증가가 생기게 되므로 배면 지반에 침하가 발생하여 도로, 보도, 매설물과 건물에 침하, 부등침하, 전도, 연결부 이탈과 심한 경우 구조물 등에 균열이 생길 수 있음. ③ 사질토 지반은 굴착 측 수위 저하로 성향의 침투압이 생기면 Boiling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근입부 안정에 치명적임. ④ 굴착저면에 점토층이 있고 하부에 조립토가 있.. 2023. 1. 23.
토류벽공법 선정 시 고려사항 8.1 토류벽공법 선정 시 고려사항 8.1.1 토류벽 주요 공법 1) H-pile + 토류벽 2) Sheet pile 3) SCW 4) CIP 5) 지하연속벽 8.1.2 선정 시 고려사항 1) 지층 조건 (1) 굴착지반이 연약한 점성토 또는 느슨한 사질토의 경우 굴착에 따른 토류벽 변위가 크게 되므로 주변 지반의 침하량이 크고 영향범위도 불량한 지반일수록 크게 됨. (2) 벽체 강성이 클수록 변위가 적게 되며 벽체 강성은 다음 순서로 커짐. H-pile+토류판 → sheet pile → SCW → CIP → 지중연속벽 (3) 자갈층인 경우 sheet pile의 타입이 곤란할 수 있고 SCW는 자갈이 큰 경우 예로 10cm 이상에서 시공성이 결여됨. (4) 암반층에서 CIP는 공사 기간이 길어지고 SCW,.. 2023. 1. 22.
강제교반공법의 종류와 터널굴착 보조공법의 분류 (2) 1.5 SHOT 방식 2액 1공정에 의한 것으로 주입관의 상부에서 Y자 형태의 관에서 합류되어 지중에 주입되는 방식으로 GEL Time은 수십초 ~ 수분정도이며 특수한 Sleeve가 설치된 주입관에 Packer를 설치하여 주입한다. 본 방식에서의 주입 시공성은 지반과 주입관 사이의 공극을 채우는 1차 주입에 좌우될 수 있다. 적용공법: LW, TAM 우레탄, 강관 다단 그라우팅 등 (3) 2.0 SHOT 방식 2액 2공정에 의한 것으로 주입관의 하부에서 2액이 혼합되는 방식으로 GEL Time은 수초 ~ 수십초로 급결형 주입재를 사용하는 공법에 적용되며 이중관 ROD 및 복합주입공법이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본 방식에서의 1차 주입은 급결형으로 Sealing 및 대공극 충전을 목적으로 하고 2.. 2023. 1. 20.
지반주입공법(주입재와 주입공법) 7.1 주입공법의 개요 7.1.1 국내 지반주입공법의 현황 주입이랑 지반 내에 주입관을 삽입시킨 후 이를 통해 주입재를 Pump로 압송, 충전시켜 지반을 개량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라우팅(Grouting)이라 부르기도 한다. 국내에서의 주입공법은 초기에 DAM이나 제방의 차수나 지반보강의 목적으로 Cement Milk Grouting을 적용하여 시공하였으며 80년대 들어 서울 및 부산의 대규모 도심지 지하철공사가 시작되면서 70년대 후반에 도입된 LW, JSP 공법이 본격적으로 시공되었나, 82년도에 SGR 공법이 도입되면서 용액형 Grouting이 처음 적용되었다. 이후 SGR 공법은 현탁액뿐만 아니라 종래의 Cement를 Micro Cement 화하여 침투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 2023. 1. 19.
널말뚝식 벽체의 내진설계 방법 6.2.2 널말뚝식 벽체 1) 등가 정적해석법 가. 하중 산정 널말뚝식 벽체구조물에 대한 지진 시 동토압 및 동수압 산정법은 중력식 벽체구조물과 동일하다. 변위를 고려한 해석법은 널말뚝식 벽체구조물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나. 설계지진 가속도 결정 중력식 벽체구조물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 액상화 평가 외국의 항만구조물 지진 피해사례를 보면, 피해 상황의 주원인이 지반의 액상화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선으로 액상화 평가 수행을 통해 지반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특히 앵커 장착부는 액상화 평가를 반드시 수행할 것을 권장한다. 라. 등가 정적해석법 설계 앵커지지식 널말뚝을 등가 정적해석법으로 설계하는 방법은 자유단 지지법과 Rowe의 모멘트 감소법의 병행 시행을 추천하며, 설계 과정은 아래와 같다. .. 2023. 1. 18.
흙막이벽의 내진설계 6.1 흙막이벽의 내진설계 흙막이벽은 비록 단순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하더라도 지진 및 진동하중에 대한 동적 거동은 매우 복잡한 반응을 보인다. 흙막이 벽체의 거동과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은 벽체의 기초지반, 뒤채움 재의 거동 및 벽체 자체의 관성, 연성 거동, 그리고 작용하중의 조건에 크게 좌우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진에 의한 흙막이 벽체 거동의 실측값을 정확히 기록한 사례가 거의 없으므로, 현재 벽체 구조물의 동적 거동 특성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진동 모형시험 및 수치해석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입수할 수 있는 연구자료, 내진 이론 및 외국의 흙막이 내진설계 기준을 기초로 정리하였다. 흙막이 벽체 구조물은 크게 중력식 벽체구조물과 널말뚝 식 벽체구조물로 나누어 내진설계를 정리하였다. 내진설계.. 2023. 1. 17.
근접시공시의 문제점 5.1 근접시공의 문제점 지하철(개착 및 터널), 건물 지하층, 지하공간 개발, 성토공사 및 지반개량 등의 시공에 있어 발생하는 문제점은 심각한 환경문제(소음, 진동, 분진, 지하수 오염) 뿐만 아니라, 지하 수위 저하 및 수맥의 차단과 인접지반 이완 등의 문제를 필연적으로 수반하며, 특히 도시 지역에는 지상, 지하에 기존 구조물이 위치하고 있어 시공으로 인하여 어떤 형태로든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중에서도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시공 현장 인접 지반에 변형을 유발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기존 구조물에는 예기치 않은 피해를 주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지난 30년간 수치 해석적 방법과 실물 크기 시험을 통하여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루어 왔으나, 흙이나 암반의 특성 예측의 .. 2023. 1. 16.
지하연속벽의 문제점 및 유의사항 4.2 사례 (문제점 및 유의 사항) 4.2.1 문제점 (지하연속벽, Diaphragm Wall 경우) 1) 일반적인 현장의 경우 고가이다. 일반적인 토류벽공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이다. 따라서 전술한 이점이 필요하지 않는 공사에서의 적용성은 낮다. 또 다른 공법과 비교검토를 할 경우에는 다른 공법의 결점을 보완하여 지하연속벽과 동등한 기능을 얻기 위해 추가되는 보조공법(말하자면 차수를 목적으로 하는 주입공법 등)에 드는 비용을 부가해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2) 굴착 도랑(Trench)의 붕괴 굴착 도랑의 안정은 지반안정액에 의해서 확보되지만 지하수의 상황에 따라 안정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또 장대한 패널(Panel) 길이를 시공하거나 굴착 후 장기간에 걸쳐 굴착 도랑을 방치해 두는 것도 붕괴.. 2023. 1. 15.
지하연속벽의 분류 4.1 지하연속벽의 분류 4.1.1 공법소개 1) 주열식 벽체 (Contiguous Pile Walls) 흙막이용 구조 벽체로 사용되는 주열식공법에는 주로 철근 및 철골로 보강된 Concete Pile Wall이 대부분이고 이들이 시공 방법에 따라 CIP, PIP, MIP 등으로 불린다. 콘크리트 주열식벽체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고 이들 조인트 부위의 수 가능성을 개선하고자 소개된 Soil-Cement Wall 공법 중 SCW, SEC, DSM 공법은 일출 혹은 다축 오거나 교반장치에 인장 모멘트 작용시는 별도 철재 보완이 요구되나. 그러나 Jet-Grout, CJG나 CSP 공법은 초고압 분사 유출액(고압수, 공기, 경화재 등) 지반 내에 회전 분사시켜 원주상의 고결체를 형성한다. 2) MIP (Mi.. 2023. 1. 14.
앵커 토류벽의 해석기법 3.1.3 앵커 토류벽의 해석기법 3.1.3.1 지반 침하에 대한 경험적 기법 Peck(1969)은 모든 여타 조건들이 같다면 굴착으로 인한 침하는 시공 정도와 지보재의 종류에 따라 좌우되므로 침하량의 크기를 정확히 계산할 수 없으며 다만 신뢰할 수 있는 측정 결과로부터 보수적으로 침하를 예측할 수 있다고 하였다. 현장 측정 결과로부터 연약한 점토 지반을 중심으로 굴착에 따른 인접 지표의 침하 크기와 분포를 토류벽으로 부터의 수평거리에 따라 굴착 깊이에 의한 무차원량으로 표시하고 크게 3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여 나타냈다. 이것을 이용하여 굴착 공사 시 다양한 조건 아래에서 예지 영역으로 분류하여 나타냈다. 이것을 이용하여 굴착 공사 시 다양한 조건 아래에서 예상할 수 있는 침하에 대한 개략적인 산정 방법을.. 2023.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