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목학/흙막이 가시설34

지반조사 계획 시 요구되는 내용 1.3.2 조사 계획 시 요구되는 내용 주어진 지반 조건에 만족할 수 있는 안정된 설계 및 경제적 시공 방법을 추구할 수 있는 흙막이 구조물의 건설은 정확하고 신중한 지반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합리적인 분석이론에 필요한 설계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지반조사가 본체 구조물의 설계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자칫하면 구조물의 기초형식과 내력을 결장하는 목적으로 실시된다. 이에 따라 흙막이의 설계, 시공에 필요한 굴착지반 부근보다 깊은 지반의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흙막이 벽체 부분 또는 흙막이 배면 부분의 조사가 소홀히 되어 흙막이 설계에서의 과소 또는 과다 설계의 우려가 있으므로 세심한 계획이 필요하다. 또한 계획 현장 주변의 기존 토질조사 자료를 수집하여 현 조사내용과 비교 적용하는 것도 .. 2023. 1. 2.
흙막이 설계의 기본자료 1.1.3.2 조사단계 지반조사의 진행 방법은 조사목적이나 내용에 의해 변하게 되지만, 일반적으로 조사 밀도나 정밀도를 단계적으로 높여나가는 것이 좋다. 1) 예비조사 예비조사는 기존 관련 자료(지형도, 지질도, 주변 이외의 공사 지반조사 보고서 및 공사기록, 재해기록 등)의 수직 정리, 공중사진의 판독 및 현지답사에 의해 지형, 지질, 지하수, 환경 등의 개요를 조사하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조사 중점 지역이나 이후의 조사방침을 명백히 밝히는 것이다. 더욱이 이 단계에서 검토된 요주의 부분에 관해서는 물리탐사, 사운딩, 천공 등을 가능하면 제한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본조사 본조사는 설계, 시공에 앞서 반드시 하는 조사로써 대상지반의 성질이나 상태, 설계 등에 필요한 지반 정수를 파악함과 .. 2023. 1. 1.
지반조사 조사단계 1.1.3.2 조사단계 지반조사의 진행 방법은 조사목적이나 내용에 의해 변하게 되지만, 일반적으로 조사 밀도나 정밀도를 단계적으로 높여나가는 것이 좋다. 1) 예비조사 예비조사는 기존 관련 자료(지형도, 지질도, 주변 이외의 공사 지반조사 보고서 및 공사기록, 재해기록 등)의 수직 정리, 공중사진의 판독 및 현지답사에 의해 지형, 지질, 지하수, 환경 등의 개요를 조사하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조사 중점 지역이나 이후의 조사방침을 명백히 밝히는 것이다. 더욱이 이 단계에서 검토된 요주의 부분에 관해서는 물리탐사, 사운딩, 천공 등을 가능하면 제한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본조사 본조사는 설계, 시공에 앞서 반드시 하는 조사로써 대상지반의 성질이나 상태, 설계 등에 필요한 지반 정수를 파악함과 .. 2022. 12. 31.
굴착설계(흙막이 설계)를 위한 지반조사 제1장 굴착설계(흙막이 설계)를 위한 지반조사 1.1 지반조사 지반조사란 대상지반의 지형, 지질, 성층분포나 지하수의 상황, 지반을 구성하는 토질이나 암석의 공학적 성질 등을 명백하게 다루기 위하여 행하는 조사 전반을 총칭하는 것으로 각종 구조물의 성토 재료조사나 시공 중의 현장 측정, 실내에서의 자료조사나 토질시험 등도 그 범위에 포함된다. 다시 말해 지표로부터 지반 내를 천공, 착공하여 지층의 상태 등을 조사하는 방법으로써 지층구성 및 지하수위를 파악할 수 있고, 실내 시험에 사용할 시료를 채취할 수 있으며, 표준관입시험, 공내재하시험, 계측기기의 매설 등을 수행할 수 있다. 1.1.1 지반조사의 목적 지반조사 및 시험은 기능적인 구조물을 가급적 안전하면서 경제적으로 건설하며, 또 유지관리하는데 필요.. 2022. 12. 30.